제목 | 어린이 골격성 부정교합 주걱턱 무턱 성장조절 교정치료 | ||||
---|---|---|---|---|---|
조회수 | 28 | 등록일 | 2025-01-14 | ||
내용 |
안녕하세요. 서울 강서구 마곡역에 위치한 강서구교정치과 아름다운바른이 치과교정과 전문의 홍영민 대표원장입니다. 심한 악안면 부조화 환자를 제외하고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골격성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 성장이 진행되고 있는 어린이 환자에서만 시도할 수 있는 악정형력을 이용한 악정형 치.료 (growth modification), 골격성 부조화가 심하지 않은 환자에서 통상적인 교정치료에 의한 절충 치.료 (orthodontic camouflage treatment), 그리고 골격성 부조화가 심하고 성.장이 완료된 성인 환자에서 시행하는 악교정 수술을 들 수 있습니다. 최근 골 고정원(bone plate)이나 미니스크류와 같은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교.정.치.료로 과거보다는 치.료의 한계 범위가 더 넓어졌다고 볼 수 있지만, 악.교.정 수술로 치.료해야 할 환자들은 여전히 수술을 해야 합니다.
전치부 반대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3급 부.정.교.합 어린이는 하악골의 과.성.장에 의한 경우와 상악골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를 구별해야 하며, 그 치.료 결과와 예후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여자 어린이의 사춘기가 남자 어린이보다 빠르기 때문에 악정형 치.료는 여자 어린이에서 더 일찍 시작해야 합니다. 골격성 III급 어린이에서 상.악.골 열.성.장과 협착으로 인한 횡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 영구치가 맹출한 어린이에서는 상악 양측 제1대구치와 제1소구치에 반지를 맞춘 후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장착하여 상.악.골을 확장합니다. 유치열 또는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는 RPE와 상아 유구치부의 교.합.면에 접착되는 레진을 연결시킨 bonded RPE 장치로 상.악.골의 정중구개 봉합을 이개하여 상.악의 좁은 기저골을 확장합니다 상악골의 정중구개 봉합의 이개로 인한 횡적인 확장은 이비인후과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자에서도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연구에 의하면 RPE와 facemask로 치.료.한 그룹과 labiolingual(La-Li) 장치와 facemask로 치.료.한 그룹의 비교에서 상악골의 전방이동,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과 하.악 전치의 설측 경사의 효과가 RPE 그룹에서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고, 악정형 장치의 중단 후에는 다시 원래의 상.악.골 성.장 양상으로 돌아간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전후방적으로 상.악.골이 열성장인 경우, 상.악.골의 전하방 성.장의 촉진을 위해 RPE나 bonded RPE 장치에 상악골의 전방 견인 장치인 facemask를 연결하여 상.악.골을 전방 견인합니다. 환자의 협조도가 양호하다면 짧은 치료 기간 내에 상.악.골의 전하방 성장의 촉진과 함께 전.치.부 반.대.교.합을 개선할 수 있으며 안모의 개선과 함께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서는 상·하악골에 직접 골 고정판을 고정하고 상.악.골 구치부의 협측 부위 상방과 하.악.골의 전치부 하방에 훅(hook)을 노출시킨 후, III급 고무줄을 장착하게 하여 원치 않는 전치부의 순측 경사를 최소화하고, 상악골의 전하방 성.장을 촉진하며, 상·하악골의 골격 변화를 유도합니다. 뼈에 직접 골 고정판을 고정하는 이러한 방법은 협조도도 훨씬 양호하고 효과도 더 좋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신마취 하에 수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부담을 갖고 꺼려하는 경우가 많아 아직까지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하.악.골의 과.성.장으로 초래된 골.격.성 3급 부.정.교.합에서 악정형 치료를 시행하면, 전.치.부 반.대.교.합은 개선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직후 양호한 안모가 유지되더라도, 사춘기의 급속 성장 기간 동안이나 악정형 치료 후 하악골이 계속 성장하는 경우, 개선되었던 전치부 반대교합이 재발될 수 있습니다. 또는 교.합 상태가 아주 나쁘지는 않더라도 전치부의 치성 보상과 함께 외모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즉. 중안면 부위는 함몰되어 보이고 긴 하악골로 인하여 오목한 측모가 되는 예를 종종 접할 수 있습니다. RPE와 facemask에 의한 악.정.형 치.료는 상악골이 열.성.장이고, 하.악.골이 거의 정상적인 어린이 환자에서는 효과가 있지만, 이미 하.악.골이 과성장된 경우나, 사춘기 성.장이 끝난 청소년 환자에서는 큰 골격적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반대교합과 안모가 양호하게 개선되었다 하더라도 치.료 후 하.악.골의 성.장으로 인해 안모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성.장 후 악교정 수술의 가능성을 설명해야 합니다.
골.격.성 II급 부..정교.합 어린이는 하.악.골의 열성장에 의한 경우와 상.악.골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에 따라 치료 방법, 결과 및 예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악골의 성.장은 거의 정상이고 상.악.골이 과성장인 골.격.성 2급인 어린이 환자에서는 상.악.골의 전하방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악에 헤드기어를 하루에 12시간 이상 착용하여 상.악.골에 악정형력을 가하면 상.악.골의 전하방 성.장의 억제와 함께 하.악.골의 자연적인 성.장으로 인해 양호한 치려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악.골.의 열.성.장으로 인한 골격성 2급 부정교합 어린이에서 하악골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악기능 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고정성 악기능 장치인 Herbst 혹은 bionator 같은 가철성 악기능 장치가 있으며 편의성을 고려하여 아름다운바른이교정치과에서는 꼈다 뺐다 할 수 있는 바이오네이터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어린이 환자에서 성.장 변화를 위한 악.정.형 치.료를 하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에서는 치.료 효.과가 좋지만, 경우에 따라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해야 하며 장치 협조도가 매우 중요함을 강조해야 합니다.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환자는 성.장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고, 성장 후 재평가하여 교.정.적 절충치료나 심한 경우는 악.교.정 수술까지 시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시켜야 합니다. |